지식+돈

돈을 더해주는 지식+돈

  • 2025. 3. 15.

    by. ohappykung

    목차

      돈과 투자

       


      1. 월급을 받자마자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

      많은 사람이 월급을 받으면 먼저 생활비를 사용하고 남은 돈을 저축하려고 한다. 하지만 이 방식은 돈을 모으기 어려운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다. 돈이 모이는 사람들은 월급을 받자마자 가장 먼저 저축과 투자를 한다. 이를 ‘선 저축 후지출’ 원칙이라고 부르는데, 먼저 돈을 빼두면 소비할 수 있는 금액이 줄어들어 자연스럽게 절약 습관이 만들어진다.

      이 원칙을 실천하려면 월급이 들어오자마자 자동이체를 설정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월급이 300만 원이라면 20%인 60만 원을 예·적금 계좌나 투자 계좌로 자동으로 이체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저축을 강제하는 효과가 있어 꾸준한 자산 형성이 가능하다.

       

      2.50:30:20 법칙으로 월급을 효과적으로 분배하기

       

      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많은 금융 전문가가 추천하는 방법이 있다. 바로 ‘50:30:20 법칙’이다. 이 법칙은 월급을 필수 지출(50%), 선택 지출(30%), 저축 및 투자(20%)의 비율로 나누는 방식이다.

      필수 지출 (50%): 월세, 공과금, 식비, 교통비 등 꼭 필요한 생활비
      선택 지출 (30%): 외식, 쇼핑, 여행 등 개인적인 즐거움을 위한 소비
      저축 및 투자 (20%): 비상금, 적금, 주식, 펀드, 연금 등 자산을 늘리는 투자
      이 비율을 기준으로 자신에게 맞는 계획을 세우면 돈을 더욱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만약 50:30:20이 어렵다면 60:20:20, 70:20:10 등으로 자신에게 맞게 조정하면 된다. 중요한 것은 저축과 투자 비율을 반드시 포함하는 것이다.

       

      3. 소비 연습관 개선: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는 법

      돈이 모이는 사람들은 작은 소비 하나도 신중하게 결정한다. 특히, 무분별한 지출을 막기 위해 ‘지출 다이어리’를 작성하거나 ‘무지 출 데이(No Spend Day)’를 실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지출 다이어리 작성: 하루 동안 사용한 돈을 기록하면 불필요한 지출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무지 출 데이 실천: 일주일에 하루, 혹은 한 달에 3~4일을 정해 아무런 지출도 하지 않는 날을 만드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고 돈의 가치를 다시 생각하는 계기가 된다.
      또한, 신용카드 대신 체크카드를 사용하거나, 현금을 인출한 후 그 안에서 소비하는 방식을 활용하면 충동 소비를 막을 수 있다.

       

      4. 비상금과 투자, 두 마리 토끼 잡기

      많은 사람이 돈을 모으려 할 때 저축에만 집중하지만, 자산을 제대로 불리려면 비상금과 투자를 병행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비상금 마련: 갑작스러운 지출에 대비해 최소 3~6개월 치 생활비를 비상금으로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CMA(종합자산관리 계좌)나 수시입출금 통장에 돈을 넣어두는 것이 좋다.
      소액 투자 시작: 금리가 낮은 시대에 예금만으로는 부를 늘리기 어렵다. ETF(상장지수펀드), 인덱스 펀드, 배당주 투자처럼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투자 방식을 활용하면 적은 돈으로도 돈을 불릴 수 있다.

       

       

      5. 돈이 모이는 사람들의 공통 습관

      부자가 되는 사람들은 단순히 돈을 많이 버는 것이 아니라, 돈을 잘 관리하는 습관을 지니고 있다. 다음과 같은 습관을 실천하면 누구나 돈을 효과적으로 모을 수 있다.

      고정 지출 점검: 매달 자동으로 빠져나가는 비용(구독 서비스, 보험료 등)을 점검하고 불필요한 것은 줄이기
      1년 목표 설정: 단기적인 저축 목표(예: 여행 경비 200만 원 모으기)를 세우고 실천하기
      소비 전에 질문하기: ‘이게 정말 필요한가?’라고 자문하는 습관을 들이면 불필요한 소비를 줄일 수 있다.

       

      6. 소득을 늘리는 방법: 월급 외 추가 수익 만들기

      돈을 모으는 것만큼 중요한 것이 소득을 늘리는 것이다. 월급만으로 부를 축적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추가적인 수익원을 만들 필요가 있다. 다음과 같은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부업 시작하기: 블로그, 유튜브,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작 등 인터넷 기반 부업은 적은 투자로 시작할 수 있다.
      배당주 투자: 일정 금액을 배당주에 투자하면 분기마다 꾸준한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디지털 자산 활용: 전자책, 디자인 템플릿, 코드 판매 등 디지털 제품을 만들어 수익화하는 방법도 효과적이다.

       

       

      7. 금융 지식을 키워 돈을 더 잘 관리하기

      돈을 잘 관리하려면 금융 지식을 지속해서 쌓는 것이 중요하다. 금융 관련 서적을 읽거나, 경제 뉴스와 재테크 관련 콘텐츠를 꾸준히 접하면 돈을 다루는 능력이 향상된다. 추천할 만한 금융 관련 책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 로버트 기요사키
      《돈의 심리학》 – 모건
      《나는 오늘도 경제적 자유를 꿈꾼다》 – 유노윤호
      《현명한 투자자》 – 벤저민 그레이엄
      또한, 금융 유튜브 채널이나 팟캐스트를 구독하면 최신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다. 금융에 대한 이해가 깊어질수록 돈을 효율적으로 모으고 불릴 수 있는 능력이 자연스럽게 향상된다.

       

      8. 작은 습관이 부자가 되는 길을 만든다

      돈이 모이는 사람들은 특별한 능력을 갖춘 것이 아니라, 작은 습관을 꾸준히 실천할 뿐이다. 월급을 받자마자 저축과 투자를 먼저 하고,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며, 추가적인 소득을 만들고, 금융 지식을 지속해서 쌓는다면 누구나 경제적 자유를 향해 나아갈 수 있다.

      이제 당신도 월급을 받으면 먼저 저축과 투자를 하고, 소비를 신중하게 결정하며, 새로운 수익원을 만들어보자. 작은 변화가 쌓이면 결국 큰 부를 이루게 될 것이다.

       

      ◈ 초보자 꿀팁 10가지 ◈ 

       

      1️⃣ ‘월급 들어오는 날 = 돈 나누는 날’로 정하자

      • 월급 받자마자 지출하지 말고 3분할 관리
        생활비 / 저축 / 투자
      • 자동이체 설정으로 강제 분산 관리

      예: 30% 저축, 50% 생활비, 20% 투자

       

      2️⃣ 고정지출부터 점검하자 (자동이체 점검 필수)

      • 매달 빠져나가는 고정비(넷플릭스, 보험, 통신비 등)를 1년에 한 번은 점검
      • 불필요한 정기구독은 과감히 정리

      Tip: 통신사는 알뜰폰으로, 보험은 보장분석 받고 조정하기

       

      3️⃣ 가계부는 어렵게 쓰지 말자 (앱 활용으로 간편하게)

      • 요즘은 AI 가계부 앱이 자동으로 소비를 분류해줘요
        뱅크샐러드, 토스, 머니플랜 등

      하루 5초 소비 체크 → 돈 쓰는 패턴이 보인다

       

      4️⃣ ‘생활비 통장’을 따로 만들어라

      • 체크카드 연결된 생활비 전용 통장을 만들고 정해진 금액만 이체
      • 이 통장만 쓰면 자동으로 소비 제한

      예: 월 100만 원만 생활비 통장에 넣고 절대 추가 이체 X

       

      5️⃣ 1,000원 단위까지도 무시하지 말자 (잔돈 모으기 습관)

      • 잔돈 자동 저축 서비스 활용 (카카오뱅크, 토스의 ‘저금통’ 기능)
      • 소액이지만 꾸준히 모이면 심리적으로 ‘모으는 재미’까지 얻음

      “100원도 절약하는 습관이 결국 1,000만 원을 만든다.”

       

      6️⃣ 비정기 수입은 ‘무조건 저축 or 투자’

      • 상여금, 세금 환급금, 명절 용돈 등 비정기 수입은 절대 생활비로 쓰지 말기
      • 100% 미래 자산으로 전환

      갑자기 들어온 돈일수록 더 쉽게 나가요. 묶어두세요!

       

      7️⃣ ‘다 쓴 후 남은 돈을 저축’은 절대 금물!

      • 월급 받은 후 ‘남으면 저축’ → 거의 남지 않음
      • 무조건 선저축, 후소비 원칙

       예: 월급의 20%는 자동이체로 저축 통장에 ‘숨기기’

       

      8️⃣ 현금 흐름표 만들기 (돈의 흐름을 시각화하자)

      • 지출 구조를 표로 만들어 눈으로 확인
      • 어디에 돈을 쓰는지 알면 줄일 수 있는 항목이 명확해짐

      엑셀 / 가계부 앱 / 노션 템플릿 활용도 추천!

       

      9️⃣ 소비 전 ‘질문 습관’ 하나로 불필요한 지출 잡기

      • “이건 정말 필요한가?”, “한 달 뒤에도 만족할 소비인가?”
      • 5초만 멈추면 지갑을 닫을 수 있음

      소비를 ‘감정’이 아닌 ‘판단’으로 전환하는 훈련

       

      🔟 1년 뒤의 자신에게 월급 1개월치를 선물하자

      • 매달 8%씩 저축하면 → 1년 뒤 월급의 1개월 분이 생김
      • 목적 있는 저축은 동기부여를 지속시켜줌

      예: ‘1년 뒤 노트북 교체’라는 목표를 세우면 훨씬 덜 새나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