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1. 강의 기획표 샘플
강의 기획표는 콘텐츠 제작의 방향을 잡아주는 나침반 같은 역할을 해. 구조 없이 만들면 강의 흐름이 산만해지고, 수강생의 만족도가 떨어집니다.
아래는 누구나 쉽게 쓸 수 있는 강의 기획표 기본 포맷입니다.
강의 기획표 예시
- 강의명: 회사에서 바로 쓰는 엑셀 실무 꿀팁
- 대상: 사무직 초보자, 신입사원, 엑셀에 익숙하지 않은 직장인
- 강의 목적: 엑셀을 빠르게 익혀 실무에 적용하고, 보고서 작성 시간을 단축
- 총 구성: 총 10강 (각 강의 5~10분)
- 준비 자료: PPT 슬라이드, 예제 엑셀 파일, 요약 PDF
- 목표 수강생 수: 초기 100명 목표
가격 전략: 출시 초 특가 19,000원 → 후기 확보 후 정가 49,000원
강의 커리큘럼 (예시)
회차 제목 내용 요약 1회 엑셀 기본 설정 꿀팁 빠른 실행 도구, 보기 설정 등 2회 실무에서 많이 쓰는 단축키 외워두면 업무 속도 2배 빨라지는 단축키 소개 3회 VLOOKUP 제대로 쓰는 법 실전 사례 기반 예제 파일과 함께 … … … 10회 보고서 자동화 매크로 활용 복사/붙여넣기 없이 반복작업 줄이기 이런 식으로 목표, 타겟, 구성, 회차별 내용만 정리해도 제작 시 훨씬 수월해져. 나중엔 이 기획표가 마케팅 자료로도 활용돼서 1석 2조이다.
2. 촬영 체크리스트
초보자들이 가장 많이 실수하는 게 바로 촬영 전 준비 부족입니다.
한 번 촬영하고 나서 "이거 다시 찍어야겠네…"라는 말을 안 듣고 싶다면, 아래 촬영 체크리스트 꼭 확인하고 시작합시다.
촬영 전 체크리스트를 꼭 확인하고 체크합니다.
1) 콘텐츠 준비
- 강의 기획표 작성 완료
- PPT or 캡처화면 준비
- 실습 자료, 예제 파일 완비
- 대본 or 말할 흐름 정리
2) 장비 확인
- 스마트폰 or 웹캠 촬영 설정 완료
- 삼각대 or 고정 장치 설치
- 마이크 작동 확인 (잡음 제거 필수)
- 조명 설치 (링라이트 or 자연광 확보)
- 노트북 화면 녹화 프로그램 (OBS, Loom 등) 점검
3) 촬영 환경
- 배경은 깔끔하고 정돈된 상태
- 주변 소음 최소화 (창문 닫기, 알람 끄기)
- 옷차림은 단정하고 화면에 어울리게
- 얼굴에 그림자 생기지 않도록 조명 각도 조정
4) 테스트 촬영
- 30초 정도 테스트 영상 촬영 및 재생
- 음량 확인 → 목소리 작거나 울리면 조절
- 화면 녹화는 자막/커서 잘 보이는지 확인
이 체크리스트 한 장만 있으면 촬영 전후로 정신없지 않고, 프로처럼 준비된 강사 느낌 줄 수 있습니다.
3. 강의 제목 샘플 20가지
좋은 강의 제목 하나가 클릭률을 10배로 만들 수 있어. 초보자들은 너무 일반적인 제목을 쓰는 경우가 많은데, 구체적이고 결과 중심, 감정을 자극하는 제목이 훨씬 효과적이다.
아래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제목 아이디어 20가지이다.
실전 제목 샘플 20선
- 퇴근 후 30분, 나도 할 수 있는 부업 디자인 강의
- 엑셀 단축키만 알아도 업무 속도가 2배!
- 인스타 팔로워 1,000명까지 2주 컷! 마케팅 실전편
- 영상 편집 1도 몰라도 되는 프리미어 왕초보 강의
- 클래스101 입점까지 한 달, 강사 데뷔 실전과정
- 말 잘하는 법? 스피치가 아니라 스토리텔링이다
- 유튜브 알고리즘 뚫는 썸네일 & 제목 전략
- 퇴사 전 필수! 나만의 온라인 강의 만들기
- 노코드 툴로 자동화하는 내 일상 루틴
- 일 잘하는 사람의 노션 정리법 전격 공개
- 네이버 블로그 상위노출, 알고리즘 기반 전략
- Canva로 만드는 1인 브랜드 디자인 입문
- 카피라이팅 하나로 매출 3배 올리는 글쓰기 기술
- 영상 촬영 없이 만드는 무자본 온라인 강의
- 실무자가 알려주는 진짜 포토샵 단축키
- 1일 1문장 영어 회화, 직장인 생존 회화법
- 글 하나로 사람을 움직이는 브랜딩 글쓰기
- 7일 완성! 온라인 강의 개설부터 마케팅까지
- 나만 알고 싶은 Notion 자동화 꿀팁 공개
- SNS 안 해도 되는 온라인 강의 판매법
4. 초보 강의 제작자에게 꼭 필요한 실전 정보
1) “판매 플랫폼 vs 자체 사이트” 선택 전략
- 플랫폼(예: 클래스101, 탈잉, 인프런) 활용 시: 홍보, 결제, 고객관리 부담이 없음 → 단, 수수료가 30~50% 발생.
- 자체 사이트 운영 시(예: 크몽+노션 조합, 이커머스): 수익률은 높지만 마케팅이 어려움
→ 초보자는 플랫폼부터 시작하고, 후에 자체화 추천!
2 )초기 수강생 모집 전략
- 지인 10명 체험단 운영해서 무료 or 할인 제공
- SNS에 제작과정 브이로그 or 준비 일지 공유 → 자연스럽게 기대감 조성
- ‘첫 수강생 50명 한정 70% 할인’ 등 기한 제한 있는 혜택 활용
3) 커뮤니티의 힘은 생각보다 크다
- 강의는 “콘텐츠”지만, 판매는 결국 “신뢰”야.
- 같은 관심사 가진 커뮤니티에 자연스럽게 녹아들어 강의 정보 공유 → 타깃 고객이 직접 유입됨
- 예: 디자인 강의 → 피그마 오픈카톡방 / 자바 강의 → 개발자 카페
4)영상 편집 부담 줄이는 꿀팁
- 녹화 + 슬라이드 전환 + 말하기를 한 번에 끝내는 방식 추천 (OBS 등으로 화면 녹화)
- 실수해도 괜찮아! 자잘한 말실수는 그대로 둬도 괜찮고, 너무 힘들면 슬라이드형 무편집 강의로 시작도 가능
5) 수강생 피드백은 성장의 핵심
- 수강생 질문은 무조건 정성껏 답변!
- “Q&A 모음”을 만들어 다음 강의에 활용하거나 보너스 강의로 제공하면 신뢰도 상승
- 후기 요청은 강의 끝부분에 자연스럽게 유도해야 효과적
- 예: “이 강의가 도움이 되셨다면 간단한 리뷰 부탁드려요 😊”
6) 강의 외 수익 구조 설계
- 부록 PDF 유료 판매, 컨설팅 연계, 템플릿 판매 등 부가 수익도 가능
- 한 번 만든 강의 → 템플릿으로 응용하여 다른 플랫폼에 재활용 가능
“강의는 콘텐츠가 아니라 상품이다”
강의가 아무리 좋더라도 브랜딩, 마케팅, 후기, 커뮤니티 등 외부 요소가 따라오지 않으면 팔리지 않아. “내가 만들고 싶은 강의”보다 “사람들이 사고 싶은 강의”를 먼저 고민하는 게 중요하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30,40대에 알았다면 더 빠르게 부자가 되었을 지식 (1) 2025.04.14 스마트한 절약 & 소비 습관 (1) 2025.04.14 강의 플랫폼에서 온라인 강의로 돈 벌기 – (1)현실적인 전략과 꿀팁 (1) 2025.04.14 틱톡 & 유튜브 쇼츠 활용한 단기 수익 모델 전략 (1) 2025.04.11 링크트리 & Notion을 활용한 수익 구조 정리 – 실전 가이드 (0) 2025.04.11